UWB Creator Kit Q1
GrowSpace 제품 사용 중 겪을 수 있는 모든 궁금증을 이곳에서 해결하세요. 앵커 설치부터 앱 실행, 거리 측정과 RTLS 위치 추정까지 – 테스트와 운영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이슈를 중심으로, 실제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구성된 안내입니다.
이 페이지 하나로 테스트 환경 구축부터 측정 정확도 향상까지, 다른 문서를 찾지 않아도 되는 FAQ를 제공합니다.
📦 키트 구성 및 준비 단계
GrowSpace 키트에 어떤 제품들이 포함되어 있나요?
크리에이터 키트 – 기본 RTLS 테스트용
앵커(Anchor) 3개
리스너(Listener) 1개
개발자용 태그(Dev Tag) 1개 → RTLS(실시간 위치 측정 시스템)를 처음 도입하거나 실내 테스트를 위한 기본 구성을 원하시는 분께 적합합니다.
크리에이터 확장 키트 – 고급 RTLS 테스트 및 실험용
앵커 4개
게이트웨이(Gateway) 1개
개발자용 태그 1개 → 단순한 위치 테스트를 넘어 서비스 구현, 서버 연동, 복잡한 공간 구조 등을 실험해보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추천드립니다.
GrowSpace 시스템은 어떤 구조인가요?
크리에이터 키트 Q1(고정형)
구성 흐름: [태그] → [앵커 Q1] → [리스너 또는 게이트웨이] → [서버] → [관제 소프트웨어]
태그(Q1-WT, Q1-AT 등): 인체 또는 물체에 부착되어 실시간 위치 측정을 수행
앵커(Q1-AN): 고정된 기준점으로, 태그와의 거리를 측정
리스너(Q1-LS) 또는 게이트웨이(Q1-GW): 앵커로부터 수집된 거리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
서버 및 소프트웨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위치 좌표 계산 및 시각화
로컬 PC 기반 관제 프로그램
웹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Q1 시스템은 시설 내 RTLS 인프라 구축용으로, 사람/자산의 위치 추적 및 분석에 적합합니다.
크리에이터 키트와 모바일 키트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사용 환경
실내 고정형
모바일 장치 연동
연동 방식
PC Viewer (시리얼)
SDK (BLE/UART)
적합 목적
RTLS 구조 실험, 위치 측정
위치 기반 서비스 구현, 로봇 연동
구성
앵커 + 태그 + 리스너
앵커 + SDK
리스너와 게이트웨이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연결 방식
USB 직결
Wi-Fi / LAN
용도
테스트용
실시간 데이터 운영용
연동 대상
PC, MCU 등
클라우드, 서버 등
🧭 앵커 설치와 위치 선정
기준 앵커와 기준이 아닌 앵커의 차이가 어떤건가요?
역할
네트워크 통신의 시작 신호(Trigger)를 전송하는 기준점
기준 앵커의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
설정 필요 여부
하나의 기준 앵커만 반드시 설정해야 함
나머지 앵커들은 기준 없이 일반 앵커로 설정
기능
같은 PAN ID 내 모든 장치(UWB 태그, 앵커 등)의 통신을 동기화시키는 핵심
기준 앵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거리 측정에 참여
개수 제한
PAN ID당 1개만 설정 가능
PAN ID당 최대 30개까지 가능 (기준 포함)
왜 기준 앵커가 필요한가요?
GrowSpace UWB 시스템은 PAN ID(UWB 네트워크 식별자)를 기반으로 장치 간 통신을 관리합니다.
하나의 네트워크(PAN ID) 내에서는 1개의 기준 앵커(=Initiator)가 반드시 있어야, 모든 장치가 동기화된 상태에서 거리 측정(UWB 세션)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기준 앵커는 위치 측정의 기준 좌표가 아니라, 통신 시작을 위한 기준 시점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기준 앵커 설정은 Space-Lite/Cloud 소프트웨어 또는 설정 프로그램에서 간단히 지정하실 수 있으며, 동일 네트워크(PAN ID) 내에서 단 1개만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기준 앵커(Initiator)는 꼭 (0,0)이어야 하나요?
기준 앵커(Initiator)는 꼭 (0,0) 좌표일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기준 앵커를 (0,0)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권장 방식이며, 아래와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기준 앵커가 (0,0)으로 설정되는 이유
RTLS 시스템에서 기준 앵커는 기준 좌표계의 원점 역할을 하도록 지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준점을 (0,0)으로 설정하면, 전체 공간 좌표계를 정의하기가 쉬워지고, 나머지 앵커와 태그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순 직사각형 환경에서 앵커가 3개라면
기준 앵커 → (0,0)
두 번째 앵커 → (X,0)
세 번째 앵커 → (0,Y) 식으로 좌표를 지정하면 시스템 해석과 시각화에 도움이 됩니다.
✅ 꼭 (0,0)이 아니어도 되는 경우
기준 앵커는 통신의 시작 신호(Trigger) 역할만 수행하며, 실제 좌표값과는 무관하게 기능적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설치 환경이나 구조상 (0,0)에 기준 앵커를 둘 수 없다면, 다른 위치에 기준 앵커를 배치하고, (0,0)은 다른 앵커나 가상의 기준점으로 설정해도 괜찮습니다.
단, 이 경우 앵커들의 상대 위치 좌표계만 일관되게 유지되면 측위 성능에 문제는 없습니다.
앵커 간 거리는 얼마나 두는 게 좋나요?
앵커 간 거리는 일반적으로 20m 이내 간격을 권장합니다. 지나치게 멀리 설치할 경우 정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테스트 환경에 따라 적절히 조정해 주세요.
✅ 설치 기준 요약
앵커 간 거리
15~20m 이내
커버리지 형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배치 권장
최소 앵커 수
3개 이상 (삼변 측량 기반)
기준 앵커 (Base)
1개 (좌표 기준점 역할)
앵커는 가급적 서로 잘 보이는 개방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장 또는 높은 벽면에 고정하면 수신 안정성과 커버리지가 개선됩니다.
금속 벽면이나 유리 옆에 설치해도 괜찮나요?
가능하면 금속이나 유리처럼 반사율이 높은 재질은 피해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UWB 신호는 금속과 유리에서 반사되거나 굴절될 수 있어, 멀티패스(Multipath) 간섭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위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권장 설치 조건:
금속 기둥, 엘리베이터 근처는 피하기
유리 벽보다 일반 석고/콘크리트 벽면에 설치
통신 성능 확인을 위해 설치 후 실제 거리 측정값과 비교 테스트 권장
※ 부득이하게 해당 위치에 설치해야 할 경우, 실제 위치 오차를 확인하고 보정값을 적용하거나, 다른 앵커를 보완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앵커는 몇 개부터 설치가 가능한가요?
목적에 따라 필요한 앵커 수가 달라집니다.
거리 측정(Distance only)만 필요한 경우에는 1개만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태그까지의 거리만 계산)
정확한 위치 측정(RTLS)을 원하신다면, 최소 3개 이상의 앵커가 필요합니다. (삼변측량 방식으로 2D 좌표 계산)
3D 위치 측정(Z축 포함)을 원하신다면 4개 이상 설치를 권장합니다. 앵커 수가 많아질수록 위치 정확도와 안정성도 향상됩니다.
📐 좌표 측정과 입력
앵커 좌표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앵커의 좌표는 공간 내 실제 거리 측정을 통해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며, 좌표 정확도가 전체 RTLS 정확도를 좌우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기준 앵커를 (0, 0, Z)로 설정하고, 다른 앵커들과의 상대 거리(X, Y, Z)를 줄자나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 측정하여 좌표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좌표는 앵커 중심 간 거리 기준으로 측정하세요.
기준 앵커 위치는 꼭 (0, 0)이 아니어도 되며, 다른 기준점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2회 이상 반복 측정을 권장합니다.
👉 자세한 측정 절차와 예시는 아래 설치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앵커 설치 및 좌표 측정 매뉴얼 바로가기
좌표 단위는 mm인가요, m인가요?
좌표 입력 단위는 밀리미터(mm)입니다.
예를 들어, 2.5m 높이에 설치했다면 Z = 2500
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Web Console이나 RTLS 연산 엔진은 mm 단위로 처리되므로 단위 오류에 주의하세요.
좌표를 실측이 아닌 도면 기준으로 잡아도 되나요?
가능하지만 실측이 더 정확합니다. 도면상의 수치만으로 입력할 경우,
도면과 실제 구조 사이의 오차
설치 위치의 미세한 차이 등으로 인해 RTLS 오차가 커질 수 있습니다.
실제 줄자 측정 또는 레이저 거리계 사용을 권장하며, 측정 후 좌표를 입력해주세요.
실내 / 실외 환경에서의 위치 측정 거리 범위가 각각 어느 정도되나요?
기본적인 측정 거리 성능은 실내외 모두 유사하지만, 설치 환경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앵커 배치 간격은 다르게 권장됩니다.
✅ 환경별 설치 가이드
실내
15m
25m
10~30cm 이내
실외
20m
25m
10~30cm 이내
실내 환경은 벽체, 가구, 천장 구조물 등 신호를 반사하거나 차단하는 요소가 많아 더 촘촘한 앵커 배치(15m 이내)를 권장합니다.
실외는 구조물이 적고 개방된 환경이기 때문에 20m 간격으로도 안정적인 측위가 가능합니다.
📲 태그 / 단말기 테스트
스마트폰으로 태그 역할을 대체할 수 있나요?
네, GrowSpace 모바일 키트(N1-CK-01) 를 사용하는 경우, UWB가 내장된 스마트폰만으로도 거리 측정과 위치 추정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별도의 물리 태그 없이, 스마트폰이 직접 태그처럼 동작하여 앵커와 거리, 방향 정보를 주고받고, 실시간 RTLS 연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UWB 지원 스마트폰 기기 (예: Galaxy S21+ 이상, iPhone 11 이상)
GrowSpace Mobile 앱 설치
전원이 연결된 N1 앵커 3개 이상 설치
정확한 앵커 좌표 입력
스마트폰 기반 테스트를 원하신다면, GrowSpace 모바일 키트(N1-CK-01) 제품을 구매해 주세요. 앵커 3개와 SDK가 포함되어 있어, 앱만으로도 실내 거리 및 위치 테스트를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거리 측정은 정상적으로 되는데, RTLS 위치 추정이 되지 않습니다. 원인이 무엇인가요?
RTLS(Real-Time Location System) 위치 추정은 거리 측정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여러 조건이 충족되어야 위치 연산이 가능합니다. 다음 항목을 확인해 주세요:
1. 앵커 수량 확인
RTLS 위치 추정을 위해서는 최소 3개 이상의 앵커가 동시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2개 이하로 연결된 경우, 삼변측량(Trilateration)이 불가능해 위치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2. 앵커 좌표 입력 여부
각 앵커의 좌표(X, Y, Z)가 앱 또는 시스템에 정확히 입력되어 있어야 위치 연산이 가능합니다.
좌표가 누락되거나 잘못 입력된 경우, RTLS 연산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3. 실시간 세션 연결 상태
일부 앵커가 실시간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신호가 약한 경우, 위치 추정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BLE 연결이나 UWB 세션 연결이 끊기지 않았는지 확인해 주세요.
4. 테스트 공간 설정
RTLS 기능에서는 테스트 공간의 가로/세로(M 단위) 범위를 지정해야 격자 기반 위치 표시가 가능합니다.
격자 크기 설정이 누락되거나 너무 작게 설정된 경우, 위치 표시가 화면에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조건이 정상일 경우에도 위치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환경적 요인(금속 간섭, 반사 등)을 고려해 테스트 환경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개발자 태그의 충전형과 비충전형의 차이는 뭔가요?
두 제품 모두 기능과 성능은 동일하지만, 전원 공급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 충전형
USB 포트를 통해 충전 가능
내부에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어 무선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비충전형
USB 충전 회로가 없으며, 별도의 외부 전원 연결이 필요
실험실 내 고정 설치 등 상시 전원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충전형 태그는 얼마나 사용할 수 있나요?
충전형 태그는 하드웨어는 동일하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 시간이 다릅니다.
인적 태그 (사람 위치 측정용): 최대 약 7일 사용 가능 → 위치 업데이트 주기(예: 1Hz, 10Hz)에 따라 시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물적 태그 (자산/물류 트래킹용): 최대 약 70일 사용 가능 → 저전력 전송 방식으로 동작하며, 장시간 운영에 적합합니다.
※ 실제 사용 시간은 업데이트 주기, 움직임 빈도, 전송 간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양은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 데이터
수집되는 데이터 형태를 원하는 대로 수정할 수 있을까요?
네,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위치 데이터는 MQTT를 통해 X
, Y
, Z
좌표값이 포함된 JSON 형식으로 전송됩니다.
수신 이후에는 수신 시간을 추가하거나, 원하는 포맷으로 가공하여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 전송되는 JSON 포맷 자체를 수정하고자 하시는 경우, 게이트웨이 펌웨어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하며, 별도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QTT JSON파일로 수신되는 데이터 예시 요청
MQTT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아래와 같은 JSON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게이트웨이 ID를 기준으로 Tag 정보 또는 Anchor 정보를 구분하여 전달됩니다.
✅ Tag 정보 예시
json복사편집{
"gatewayID": "GR209C",
"tags": [
{"id": "GR2eba", "panID": "0001", "x": -4.45, "y": -0.19, "z": -2.22},
{"id": "GR1012", "panID": "0001", "x": -1.44, "y": 3.68, "z": 0.72},
{"id": "GR2c3c", "panID": "0001", "x": -3.91, "y": 0.22, "z": -2.45},
{"id": "GR2cb4", "panID": "0001", "x": -3.44, "y": -0.06, "z": -2.52},
{"id": "GR2eb9", "panID": "0001", "x": -4.95, "y": 0.65, "z": 1.36}
]
}
✅ Anchor 정보 예시
json복사편집{
"gatewayID": "GR209C",
"anchors": [
{"id": "GR2fcc", "panID": "0001", "initiator": false, "x": -5.45, "y": 2.58, "z": 0.00}
]
}
gatewayID: 데이터가 수신된 게이트웨이 식별자입니다.
tags / anchors: 각각의 장비 유형에 따라 구분되며, 동일한 gatewayID로 각각의 정보가 개별 패킷으로 전송됩니다.
리스트 순서: tags 및 anchors는 게이트웨이가 주기적으로 수신한 순서에 따라 리스트 인덱스 순서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좌표 값(x, y, z): 장비의 위치 좌표입니다. 단위는 미터(m) 기준입니다.
데이터 처리 속도는 어떻게 되나요?
위치 데이터는 최대 초당 10회(10Hz)의 속도로 업데이트되며, 게이트웨이는 최대 초당 150건의 통신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즉, 여러 개의 태그를 동시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10Hz 운영 시: 최대 15개 태그 동시 처리
1Hz 운영 시: 최대 150개 태그 동시 처리
위치 데이터는 어떤 형태로 전달되나요?
기본적으로 MQTT 프로토콜을 통해 JSON 형식으로 전달됩니다.
각 태그의 X
, Y
, Z
좌표 값이 포함되며, gatewayID
를 통해 송신 게이트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신한 JSON 데이터를 가공하여 웹 서비스, DB, 시각화 시스템 등과 연동할 수 있습니다.
GrowSpace 시스템은 Python 같은 외부 개발환경과 연동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GrowSpace 시스템은 MQTT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Python, Node.js, Java 등 다양한 외부 개발 환경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MQTT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면 실시간 데이터 수신 및 분석이 가능합니다.
필요 시 API 또는 SDK 연동 관련 문서도 제공해드립니다.
연동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이 가이드를 참고해 보세요. 실습 예제와 함께 MQTT 연결 방식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실시간 위치 데이터는 어떤 형식으로 제공되나요?
GrowSpace 시스템은 실제 장비를 통해 수집된 위치 정보를 두 가지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1. 게이트웨이를 통한 MQTT 데이터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는 JSON 형식으로 MQTT를 통해 전달됩니다. 이 데이터는 시각화 시스템, 외부 서버, 또는 분석 시스템과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 예시: 태그 위치 데이터
{
"gatewayID": "GR1234",
"tags": [
{
"id": "GR8a8",
"panID": "0001",
"x": -1.25,
"y": 10.12,
"z": 1.57
}
]
}
✅ 예시: 앵커 위치 데이터
{
"gatewayID": "GR1234",
"anchors": [
{
"id": "GR1027",
"panID": "0001",
"initiator": false,
"x": -1.00,
"y": 11.48,
"z": 0.00
}
]
}
✅ 예시: 게이트웨이 정보
{
"uwbID": "GR1234",
"panID": "0001",
"ip": "172.30.1.133"
}
📌 참고:
x
,y
,z
는 각 장비의 3D 위치 좌표입니다 (단위: 미터).
panID
는 구역 구분용 ID입니다.
initiator
는 해당 앵커가 타임 싱크 시작점인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2. 리스너 장치를 통한 문자열 데이터
리스너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간단한 문자열 형식으로 위치 데이터가 전달됩니다. 이 방식은 저지연 스트리밍 또는 고속 분석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리스너 데이터 예시
POS,0,08A8,-1.22,10.14,1.60,61,x0D
POS,0,08A8,-1.20,10.15,1.60,61,x0D
POS,0,08A8,-1.21,10.13,1.59,60,x0D
...
POS
데이터 타입
0
Pan ID
08A8
태그 ID
-1.22
, 10.14
, 1.60
X, Y, Z 좌표
61
품질/신호세기 또는 내부 지표
x0D
데이터 종료 구분자
⚙ 이 데이터는 Python, C++, Node.js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 가능합니다.

🖥️ 운영 및 관리
한 공간에 여러 Pan ID 설정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GrowSpace 시스템은 하나의 물리적 공간 안에 여러 개의 Pan ID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구역별로 독립된 트래킹 그룹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일한 공간에서도 팀별, 구역별 위치 정보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공간을 나눠서 운영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공간을 구분해 운영하려면, Pan ID를 기준으로 구역을 분리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구역 A에는 Pan ID 0001, 구역 B에는 Pan ID 0002를 할당해 서로 간섭 없이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역마다 별도의 앵커를 배치하고, 시스템 내에서 존(zone) 단위로 구분 설정하면 더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앵커 하나가 고장났을 때 위치 연산은 가능한가요?
앵커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나머지 앵커가 3개 이상이라면 위치 연산은 계속 가능합니다.
GrowSpace 시스템은 3개 이상의 앵커가 동작 중일 때 위치 연산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앵커가 꺼지거나 장애가 발생해도 기본적인 위치 추적은 유지됩니다.
다만, 고장 난 앵커의 위치나 전체 배치 구조에 따라 일부 영역의 정확도나 커버리지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중요한 공간에서는 앵커를 1~2개 여유 있게 배치해 두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실시간 위치 정보를 API로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GrowSpace 시스템은 MQTT 기반 API 방식을 통해 실시간 위치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각 장비는 고유한 MQTT 토픽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개발자는 이를 구독(subscribe)해 실시간 위치 정보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 사용되는 MQTT 토픽 종류
게이트웨이 설정 정보
uwb/gateway/config/{projectId}/{deviceId}
태그 / 앵커 위치 데이터
uwb/gateway/devices/{projectId}/{deviceId}
게이트웨이 부팅 직후 1회 전송
uwb/gateway/Start/{projectId}/{deviceId}
{projectId}
는 사용자의 API 키 값입니다.{deviceId}
는 각 게이트웨이의 UWB ID로, 장비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 게이트웨이가 부팅될 때는
Start
토픽이 한 번만 전송되어 초기 상태 확인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기타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