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웨이 설정 및 데이터 확인(선택)
이 문서는 게이트웨이(Gateway) 기반 구성을 위한 가이드입니다. 만약 크리에이터 키트 Q1을 사용 중이며, 리스너(Lisener) 기반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셨다면, 리스너 매뉴얼을 함께 참고해 주세요.
이 글에서는
GrowSpace UWB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태그 및 앵커 데이터를 수집하고, MQTT 방식으로 서버 또는 클라우드와 연동하는 전체 절차를 안내합니다. 실시간 위치 데이터의 외부 전송이 필요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게이트웨이란?
게이트웨이는 UWB 장치(태그/앵커) 간 거리 데이터를 수집한 뒤, MQTT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GrowSpace 리스너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LAN 또는 Wi-Fi 기반의 전송이 가능하여 보다 넓은 공간에서도 안정적인 연동이 가능합니다.
기본 작동 흐름
게이트웨이를 전원에 연결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동을 시작합니다:
1. 전원 연결 → 부팅 시작
게이트웨이를 전원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부팅이 시작되며, 이때 LED2(초록)과 LED3(빨강)이 순차적으로 깜빡이는 모습을 통해 정상적으로 작동 중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주변 장치 자동 연결
태그와 앵커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면, 게이트웨이는 전원이 켜진 직후 자동으로 이 장치들을 인식하며, 곧바로 거리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별도로 장치를 수동으로 연결하거나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3. 네트워크 연결 시도
게이트웨이는 먼저 LAN(유선 인터넷) 연결을 시도하며, LAN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Wi-Fi(무선 인터넷) 연결로 전환됩니다.
Wi-Fi는 2.4GHz만 지원되며, 5GHz 네트워크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서버(MQTT 브로커)로 데이터 전송
사전에 MQTT 서버 정보를 입력해 두었다면, 게이트웨이는 연결된 태그와 앵커의 위치 데이터를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기 시작합니다. 반면, MQTT 설정이 누락되었거나 Wi-Fi 연결에 실패한 경우에는 LED3(빨강)이 계속 깜빡이며 오류 상태를 표시합니다.
LED 상태로 확인하는 동작 정보
LED1
초록
전원 공급 여부
항상 점등
LED2
초록
데이터 전송 상태
데이터 전송 시 점멸
LED3
빨강
오류 상태
설정 누락 또는 네트워크 오류 시 점멸

LED 1. 초록

LED 2. 초록

LED 3. 빨강
웹 설정 도구 접속하기
게이트웨이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만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설정은 GrowSpace에서 제공하는 전용 웹 설정 도구(Web Console)를 통해 진행됩니다.
접속 방법
Google Chrome 브라우저를 실행합니다.
⚠️ 반드시 Chrome을 사용해 주세요. 다른 브라우저(Edge, Safari, Firefox 등)에서는 시리얼 장치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웹 설정 도구에 접속합니다.
오른쪽의 ‘게이트웨이 설정 프로그램’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은 설정 화면이 나타며, API 키를 생성하거나 기존에 발급받은 API 키를 입력해야 합니다.
처음 사용하는 경우, [API 키생성성] 버튼을 클릭해 새로운 키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 키를 보유한 경우에는 입력란에 그대로 붙여넣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세요.
API 키는 장비 인증 및 설정 저장에 사용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API 키 생성
게이트웨이 MQTT 연동을 위해서는 API 키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단 메뉴 또는 첫 화면에서 [API 키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회사명 또는 프로젝트명을 입력합니다. 이 이름은 키 식별용으로 사용되며,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생성된 API 키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이 키를 반드시 복사하여 안전한 장소에 저장하세요.
중요! 보안상의 이유로, 창을 닫으면 해당 키는 다시 확인할 수 없습니다. 복구할 수 없으므로, 메모장이나 비밀번호 관리 앱 등에 꼭 저장해 주세요.
설정 화면 구성
API 키로 로그인 후 다음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좌측 장치 목록
연결된 태그 및 앵커 리스트
Grid 보기
실시간 장치 위치 배치 상태 확인
흔들림 보정
태그 움직임에 대한 필터 강도 조절 (1에 가까울수록 강하게 보정)
이미지 업로드
공간 도면 업로드 → 태그 위치 시각화 가능
게이트웨이 설정
MQTT 서버 정보, 포트, Wi-Fi SSID/PW 입력 및 저장
게이트웨이 설정하기
API 키를 생성한 뒤에는, 게이트웨이에 MQTT 정보와 네트워크 설정을 입력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게이트웨이가 서버와 통신하고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됩니다.
설정 절차
웹 설정 도구에 접속한 뒤, 상단 메뉴에서 [게이트웨이 설정]을 클릭합니다.
게이트웨이를 USB로 PC에 연결한 상태에서, COM 포트 목록에서 해당 장치를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아래 항목들을 정확히 입력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장이 완료되면 게이트웨이는 자동으로 재시작되며 설정이 적용됩니다.
설정 시 유의사항
입력한 정보 중 하나라도 누락되거나 오류가 있으면 연결이 실패하고 LED3(빨강)이 계속 깜빡입니다.
저장 전에 모든 항목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
설정 완료 후에는 Web Console 또는 서버 로그에서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게이트웨이 설정 화면 구성 안내
게이트웨이 설정 화면에서는 MQTT 연동과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게이트웨이를 실시간 데이터 송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1. API Key

게이트웨이 장비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고유 키입니다.
GrowSpace 설정 페이지에서 발급된 API 키를 자동으로 불러오며, 수정은 불가능합니다.
중요: API 키가 없으면 데이터 송신이 이뤄지지 않습니다.
2. Pan Id
태그(Tag), 앵커(Anchor), 게이트웨이 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그룹 식별자입니다.
모든 장치는 동일한 Pan ID를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연동됩니다.
4자리 16진수 형식으로 입력 (예:
0000
,00A1
등)
3. Wifi name (SSID)
게이트웨이가 연결할 Wi-Fi 이름을 입력합니다.
반드시 2.4GHz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5GHz 미지원)
4. Wifi password
위에서 입력한 Wi-Fi 네트워크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비밀번호가 틀릴 경우 Wi-Fi 연결이 실패하며, LED3(빨간불)이 계속 깜빡이게 됩니다.
5. MQTT IP
MQTT 서버의 IP 주소 또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GrowSpace 기본 브로커를 사용할 경우, ‘기본 지정값 사용’을 선택하면 입력 없이 자동 설정됩니다.
자체 MQTT 브로커를 운영 중이라면 IP 또는 도메인을 수동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6. MQTT Id
MQTT 브로커 로그인용 ID입니다.
GrowSpace 브로커를 사용하는 경우 자동 설정 가능하며, 외부 브로커 사용 시 직접 생성한 사용자 ID를 입력해야 합니다.
7. MQTT password
MQTT 브로커 로그인용 비밀번호입니다.
MQTT Id와 함께 입력되어야 인증이 완료되며, 입력 오류 시 연결되지 않습니다.
설치 시나리오 예시
게이트웨이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설치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공간 규모: 예시 – 가로 100m × 세로 60m
앵커 배치: 15~20m 간격으로 벽면에 균일하게 설치
게이트웨이 위치:
네트워크 장비와 가까운 위치
벽면을 따라 설치해 전원 연결이 용이한 지점
공간 중앙보다는 가장자리에 설치해 유지보수 효율 확보
설정 점검 체크리스트
게이트웨이 설정을 마친 후, 아래 항목들을 하나씩 확인해 주세요.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는지 최종 점검하는 과정입니다.
Last updated